esra world!

혐오

by esra posted Apr 02, 2020

20200402.jpg

 

코로나 19 대유행 상황에서 동양인 혐오라는 소식이 종종 들려온다.

인간에 대한 혐오는 직관적이며, 폭력적이다. 그래서 위험하다.

 

눈동자가 작고 눈빛이 날카로워서 담비의 눈을 생각나게 했다. 담비라고? 그러고 보니 그건 내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동물이다(어쨌거나 나는 유대인을 만나 보지도 않고 혐오하듯 담비를 싫어한다).
프라하의 묘지 | 움베르토 에코

 

논리가 없다.

혐오를 유발하는 요인을 경험해본 적도 없는데, 이미 형성된 편견에 편승한다.

게다가 확신한다.

 

"기분 나쁘게 생각하지 마십시오. 아주 지적인 동성애자들도 있잖습니까?"

"웃기는 양반일세. 꼭 이렇게 말하는 것 같소. '정직한 포주들도 있잖습니까

'동성애자'란 말과 '지적'이라는 말 사이에 무슨 모순이라도 있다는 건지, ." 

살인자의 건강법 | 아멜리 노통

 

내재적 편견이 무의식적으로 드러난다.

말하는 입장에서는 그 속에 혐오가 반영되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무지가 아니라 확신에 따른 결과이기 때문이다.

혐오의 대상만이 그 미묘한 뉘앙스를 감지한다.

 

코로나 19와 함께 들려온 혐오 정서는 무서운 현실을 깨운다.

평화로운 세상에서는 혐오는 범죄이며 경계해야 할 감정이라는 보편적 합의가 있다.

하지만 전시에 준한다는 팬데믹 상황에서 그 보편적 합의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은 가장 깊숙한 곳에 혐오를 내장하고 있다. 항상 튀어나올 계기만을 기다리면서.

 

추악한 단어란 존재하지 않는다. 단어들을 상상력 없이 사용함으로써 혐오스럽게 만드는 것은 바로 우리 자신이다.
미네르바의 성냥갑 | 움베르토 에코

 

그래도 희망을 찾는다.

아직은 혐오를 범죄시하는 사람이 훨씬 더 많다고 믿는다.

혐오를 만드는 것이 우리 자신이라면, 적어도 하나는 줄일 수 있다.

적어도 나 하나는.

 

그렇게 시작한다.

 

?